Education & JIAF

HOME > SimEnglog MetaLab > Education & JIAF


NFT art : 만초니 & 알렉스 라미네즈 말리스관리자작성일 22-04-04 00:00









 

공기를 찢어놓을 듯 강렬하게 울려퍼지는 방귀 소리부터 '강 약 중강 약'을 반복하는 방귀 소리까지. 세계 최대 대체불가능토큰(Non-fungible Token, NFT) 마켓플레이스 오픈씨(Opensea)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이다.

영화감독 알렉스 라미네즈 말리스Alexander M. Ramirez-Mallis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셧다운이 적용되자  2020년 3월부터 그와 친구 네 명의 1년 동안의 방귀 소리를 모아 52분짜리 '마스터 컬렉션 One Calendar Year of Recorded Farts'을 NFT마켓에 내놓고, 약 426달러(0.2415이더리움)에 판매됐다. 그는 "NFT는 방귀조차 뀌지 않고 단지 소유권을 나타내는 디지털 문자와 숫자의 나열일 뿐"이라고 뉴욕포스트에 밝혔다.

.- 출처: NYC man sells fart for $85, cashing in on NFT craze, March 18, 2021. 뉴욕포스트(https://nypost.com/2021/03/18/nyc-man-sells-fart-for-85-cashing-in-on-nft-craze

 

MZ세대의 상상력은 오픈씨(OpenSea)와 같은 플랫폼에서도 좀더 구체적이고 다양한 양태로 볼 수 있다. 오픈씨는 갤러리나 전문적인 아트페어가 아니라, 당근마켓처럼‘마켓플레이스’로, P2P 방식으로 간편하게 NFT를 거래할 수 있다. NFT관련 마켓은 현실세계에 없는 상품을 만들고, 실체가 없는 무형 콘텐츠를 민팅(minting)하고, 소유자 역시 코드만 소유한다. 인류의 역사상 상상력이 가장 잘 재현된 것 같다. 게임 아이템부터 잭 도시의‘최초의 트위터’, 하물며 ‘방귀 소리’까지 거래되고 있다. 필자는 ‘방귀 소리’가 혹시나 피에로 만초니의 <예술가의 똥>(Merda d'artista, 1961)을 패러디한 것이 아닌가 생각했다. 만초니는 마르셀 뒤샹의 레디메이드 영향하에, 인간의 산물과 예술의 산물 (즉 예술품)의 관계를 모색하며, 당시 미술경향에 대한 반항적인 조롱이자 비판이었다면, 전자는“미술을 거래하는 방식”에 대한 전통적 방식과 디지털 방식 모두 비판했다.

 

영화감독 알렉스 라미네즈말리스는 "NFT는 방귀조차 뀌지 않고 단지 소유권을 나타내는 디지털 문자와 숫자의 나열일 뿐"이라고 뉴욕포스트에 밝혔다. 그는 "값비싼 작품을 구입해 창고에 보관하고 소유권 증명서만 보여준 뒤 더 많은 돈을 받고 판매하는 수세기 동안 가치 저장 용도로 미술을 거래하는 방식 a commodity to store value"이, 디지털화 된 것이 NFT임을 비판하며, 디지털 예술 애호가들이 아니라 투기꾼들만 있다고 했다.

-출처: NYC man sells fart for $85, cashing in on NFT craze, March 18, 2021. 뉴욕포스트